본문 바로가기
자동차

[자동차부품] 완성차 구매비용 산정 방법, 소싱 결정 계산 방법

by Man 아빠 2022. 9. 30.

완성차에서 신규 소싱을 진행할 때, 어떤 식으로 "업체별 금액" 을 계산하고 비교하는지 알아보자. 이 계산식을 모르거나 잘못 이해하고 있다면, 견적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, 영업 담당자는 필히 완성차 입장에서의 비용계산이 필요하다

 

 

 

Intro 

완성차 신규 소싱 견적을 진행하다 보면, "너희 판매 가격이, 타 업체 대비 천원이 비싸, 이천원 비싸"라는 피드백은 거의 듣기 힘들다. 보통은 전체 Liftime 기준으로 1등 업체 대비 혹은 완성차 Target대비 몇 십억, 몇 백억이 차이 난다는 피드백을 받게 될 것이다. 

 

 

일반적인 완성차 계산법 

완성차는 아래 3가지 항목 금액의 합계를 Lifetime-Net-Purchasing-Value (구매금액)로 정의하고 있다 

 

1. 연도별 프로그램 물량 x 연도별 서플라이어 판매가 합 (APR 적용으로 인해, 연도별 서플라이어 판매가는 상이)

2. 프로그램 개발, 양산에 필요한 서플라이어의 ED&D, 금형비 합  

3. 프로그램 수주 조건으로, 서플라이어가 약속하는 BP (Business plan) 금액

※ BP (Business Plan)는 쉽게 말해, 수주조건으로 xxx 금액을 완성차에 환원하겠다 (까주겠다)는 것인데, 현 양산하는 프로그램들의 가격 인하를 통해서도 가능하고, 일시불로 지급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 

 

아래는 위 계산법이 적용되는 예시이다) 

완성차 구매비용 엑셀 계산 예시
완성차 구매비용 엑셀 계산 예시

 

 

판매가만 보면 A-서플라이어가 가장 경쟁력 있는 것 (싼 것)처럼 보이지만, ED&D, 금형비, BP 금액까지 합했을 때의 결과는 C-서플라이어가 가장 경쟁력 있는 견적가를 제시한 것으로 나온다. 이처럼 "판매가" 하나로만 완성차의 소싱 결정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, 견적 진행 중 바이어로부터 피드백을 받은 후에, 판매가외에 다른 항목들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Lifetime 단위로 계산해 보시길 바란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댓글